맨위로가기

베르트랑 드 블랑셰포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트랑 드 블랑셰포르는 1109년경에 태어나 1169년 1월 2일에 사망한 성전 기사단의 그랜드 마스터였다. 그는 기옌의 영주 고드프루아 드 블랑셰포르의 아들로, 어린 시절부터 전투 훈련을 받았지만, 그랜드 마스터로 재임하는 동안 개혁과 협상을 통해 성전 기사단의 이미지를 순례자의 수호자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보두앵 3세와 함께 누르 앗 딘에 대항하여 싸웠으나 포로로 잡히기도 했으며, 이후 이집트 원정에 참여했으나 실패했다. 베르트랑은 교황으로부터 '신의 은총이 함께하는 기사단장'이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기사단 내부를 개혁하고 협상 능력을 강화하여 평화 협정을 이끌었다. 1960년대부터 렌 르 샤토와 관련한 음모론에서 그의 이름이 언급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69년 사망 - 시르쿠
    시르쿠는 아르메니아 출신 쿠르드족으로, 아이유브 왕조의 시조 살라딘의 삼촌이며, 이집트 파티마 왕조의 내전에 개입하여 권력을 장악하고 와지르가 되었으나 두 달 만에 사망했다.
  • 성전기사단 총장 - 에버라드 데 바레스
    에버라드 데 바레스는 프랑스 출신의 기사로, 루이 7세의 신임을 받으며 1147년부터 1152년까지 템플 기사단의 제3대 총장을 지냈으나, 재정 문제와 내부 갈등으로 사임 후 수도원으로 은퇴했으며 제2차 십자군에 참여했다.
  • 성전기사단 총장 - 로베르 드 크라온
    로베르 드 크라온은 12세기 프랑스 귀족 출신으로 성전기사단의 제2대 그랜드 마스터였으며, 약혼을 파기하고 기사단에 입단하여 교황 직속 기사단으로 만들고 세력을 확장했으나, 제2차 십자군에 참여한 후 1147년에 사망했다.
  • 유럽의 역사 - 빈 회의
    빈 회의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의 정치 지형을 재편성하기 위해 1814년부터 1815년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 회의이며, 정통주의와 세력 균형을 통해 유럽의 평화를 유지하고자 했고,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등 여러 국가의 영토를 조정하고 노예 무역 금지 등을 합의하여 빈 체제를 구축했다.
  • 유럽의 역사 - 베스트팔렌 조약
    베스트팔렌 조약은 1648년 30년 전쟁과 80년 전쟁을 종식하기 위해 체결된 일련의 조약으로, 프랑스는 알자스 지역을 확보하고 스웨덴은 발트해 지역의 영향력을 강화했으며, 각 제후의 종교 선택의 자유를 보장하고 신성 로마 제국 내 영방의 주권을 인정하여 유럽의 정치 지형을 변화시켰다.
베르트랑 드 블랑셰포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베르트랑 드 블랑셰포르
원어명Bertrand de Blanchefort
베르트랑 드 블랑셰포르 문장
문장
직위
직책총장
임기1156년–1169년
군주교황 아나스타시오 4세
전임앙드레 드 몽바르
후임필리프 드 밀리
개인 정보
출생일1109년경
출생지프랑스 왕국 랭스
사망일1169년 1월 2일
국적프랑스
종교천주교
군사 정보
소속성전기사단
계급총장
참전십자군의 이집트 침공
전투훌레 호수 전투
십자군의 이집트 침공

2. 생애

베르트랑 드 블랑셰포르는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1109년경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기옌의 영주 고드프루아 드 블랑셰포르의 막내 아들이었으며, 성전기사단의 제6대 그랜드 마스터를 역임하며 개혁협상을 중시했다. 랭스에서 발간된 부고에 따르면 그는 1169년 1월 2일에 사망했다.

2. 1. 유년 시절

베르트랑 드 블랑셰포르의 정확한 출생 기록은 없으나, 대략 1109년프랑스 북동부의 도시인 랭스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기옌(Guyenne)의 영주였던 고드프루아 드 블랑셰포르(Godefroy de Blanchefort)의 막내 아들이었다. 어린 시절부터 전투 훈련을 받았지만, 훗날 그는 뛰어난 전사로서보다는 협상개혁에 능한 인물로 더 알려지게 된다. 이러한 그의 노력은 성전기사단이교도를 약탈하는 용병 집단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벗고 순례자의 수호자라는 긍정적인 명성을 얻는 데 기여했다. 랭스에서 발간된 부고에 따르면 그는 1169년 1월 2일에 사망했다.

2. 2. 그랜드마스터

블랑쉐포르의 베르트랑은 그랜드마스터 임기 초기에 예루살렘의 군주 보두앵 3세와 함께 누르 앗딘에 대항하여 싸웠다. 그러나 1157년 바니야스 전투에서 보두앵 3세의 명령을 따르지 않아 신뢰를 잃었고, 전투에서 패배하여 누르 앗딘의 군대에 포로로 잡혔다. 그는 알레포에서 3년 동안 감금되어 있다가, 비잔틴 제국의 황제 마누엘 1세 콤네누스가 누르 앗딘과 평화협정을 맺으면서 석방되어 팔레스타인으로 돌아왔다.

그가 예루살렘에 돌아왔을 때는 보두앵 3세가 사망한 후였고, 그의 뒤를 이은 아모리 1세와 함께 1163년 이집트 원정에 참가했으나 실패로 끝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독교인들은 베르트랑을 지지했다. 그는 1168년 막대한 손실이 예상된다는 이유로 제2차 십자군 참가를 거절하였다.

베르트랑 드 블랑쉐포르는 교황에게 신의 은총이 함께하는 기사단장(''Master by Grace of God'')이라는 칭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 당시 성전기사단의 권위가 가톨릭교회 내에서 확고해졌기 때문에, 교황은 이 요청을 기꺼이 수락했다. 그는 내부적으로 Retraits|레트레fra라 불리는 규정을 만들어 기사단 내의 구조를 확립하고, 기사들의 역할과 규약을 명확히 했다. 이를 통해 기사단은 빠르고 확실한 명령 체계를 갖추게 되었고, 그랜드마스터가 기사단의 방침이나 지도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그는 기사단 지도부 내에 견제 장치를 마련하여 미래의 그랜드마스터가 독단적으로 기사단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했다.

그는 기사단 내에서 협상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이집트 원정 실패 이후 성전기사단이 평화협정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하며 공명정대한 군대로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이러한 노력은 성전기사단의 이미지를 단순한 무력 집단이 아닌, 수호자이자 협상가로서의 면모를 부각시키는 데 기여했다.

1169년 1월 2일 베르트랑 드 블랑쉐포르가 사망하자, 밀리의 필리프가 다음 그랜드 마스터로 선출되었다.

3. 음모론

음모론의 중심지 렌 르 샤토.


1960년대부터 베르트랑 드 블랑셰포르가 렌 르 샤토(Rennes-le-Chateau) 인근에 위치한 동명의 가문과 관련이 있다는 잘못된 주장이 제기되었다.[1] 이러한 시각은 중세 유럽 음모론의 중심지이자 성혈과 성배, 다빈치 코드 등 미스터리물의 주제를 제공한 렌 르 샤토에서 블랑셰포르 가문과 베르트랑과 같은 이름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시작되었다.[3][4] 그러나 이 연관성은 오류이며, 1984년 프랑스에서 처음으로 이러한 주장이 반박되었다.[2][5]

참조

[1] 서적 L’Or de Rennes
[2] 서적 Les Mérovingiens à Rennes-le-Château, mythes ou réalités. Réponse à Messieurs Plantard, Lincoln, Vazart et Cie Editions Philippe Schrauben
[3] 서적 L’Or de Rennes
[4] 서적 성혈과 성배 자음과 모음
[5] 서적 Les Mérovingiens à Rennes-le-Château, mythes ou réalités. Réponse à Messieurs Plantard, Lincoln, Vazart et Cie Editions Philippe Schraub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